전체 글102 맹자의 성선설 (性善說) 과 순자의 성악설 (性惡說), 인간 본성 논쟁 인간의 본성은 선한가, 아니면 악한가? 맹자와 순자의 철학을 통해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봅니다.1. 인간 본성에 대한 논쟁고대 중국 철학에서 인간 본성에 대한 논쟁은 오랫동안 이어져 왔습니다. 특히 유교 철학의 대표적인 사상가인 맹자(孟子)와 순자(荀子)는 각각 성선설(性善說)과 성악설(性惡說)을 주장하며 깊이 있는 논의를 펼쳤습니다.2. 맹자의 성선설(性善說)맹자(기원전 372~289년경)는 공자의 사상을 계승한 유교 철학자로, 인간 본성이 본래 선하다고 주장했습니다.① 성선설의 핵심 개념맹자는 인간의 본성 속에는 네 가지 착한 마음이 본래 존재한다고 주장했습니다.측은지심(惻隱之心): 불쌍한 사람을 보면 연민을 느끼는 마음수오지심(羞惡之心): 부끄러움을 알고 잘못을 부끄러워하는 마음사양지심(辭讓之心.. 2025. 2. 7. 순자의 철학과 사상 - 성악설과 예치 사상의 현대적 의미 순자(荀子, 기원전 313?~238?)는 중국 전국시대의 대표적인 유가(儒家) 사상가로, 공자와 맹자의 사상을 계승하면서도 독자적인 철학 체계를 구축한 인물입니다. 그는 인간 본성을 성악설(性惡說)로 규정하고, 예(禮)와 법(法)을 통해 사회 질서를 확립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순자의 사상은 후대 법가(法家) 사상에도 영향을 미치며, 유학과 법학의 교차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순자의 철학적 사상을 깊이 있게 탐구하고, 성악설, 예치(禮治) 사상, 법가와의 관계 등 핵심 개념을 분석하며, 그의 사상이 현대 사회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겠습니다.---1. 순자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순자는 전국시대 말기에 활동하며, 여러 국가에서 학문을 연구하고 가르쳤습니다. 그가 살았던 시대는 전.. 2025. 2. 7. 장자의 소요유 (逍謠遊) : 자유로운 삶의 철학적 의미 장자의 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소요유(逍遙遊). 이것이 현대인의 삶에 어떤 의미를 가질까요?1. 장자와 소요유(逍遙遊)란?장자(莊子, 기원전 369~286년)는 도가 사상의 대표적인 철학자로, 그의 사상은 자유로운 삶과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합니다. 소요유(逍遙遊)는 장자의 대표적인 철학적 개념으로, '거리낌 없이 유유자적하는 삶'을 의미합니다.① 소요유의 의미소요(逍遙)는 '자유롭게 거닐다', 유(遊)는 '노닐다'라는 뜻을 가집니다. 즉, 소요유는 **속박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살아가는 삶**을 의미합니다.② 장자의 소요유 이야기장자의 『장자(莊子)』 책 첫 번째 장인 '소요유(逍遙遊)' 편에서는 거대한 붕(鵬)새가 바람을 타고 자유롭게 날아가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이는 인간이 세속적인 집착.. 2025. 2. 6. 노자의 도덕경 : ' 무위자연 (無爲自然)' 이 주는 인생의 교훈 노자의 철학에서 핵심 개념인 무위자연(無爲自然)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어떤 교훈을 줄 수 있을까요?1. 노자와 도덕경노자(老子, 기원전 6세기경)는 도가(道家) 사상의 창시자로, 그의 사상은 『도덕경(道德經)』에 집약되어 있습니다. 도덕경은 짧은 문장 속에 심오한 철학적 의미를 담고 있으며, 동양 사상뿐만 아니라 서양 철학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① 도덕경의 핵심 개념도(道): 우주의 근본 원리이자 자연의 법칙덕(德): 도를 따르는 실천적 자세무위(無爲): 인위적인 억지가 없는 자연스러운 상태자연(自然): 스스로 그러한 것, 있는 그대로의 모습2. 무위자연(無爲自然)이란?노자는 "도에 따라 사는 것이 최상의 삶"이라고 주장하며, 이를 실현하는 방법으로 무위자연(無爲自然)을 강조했습니다.① 무위(無.. 2025. 2. 5.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