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마사 누스바움의 철학: 능력 접근법과 현대 사회에 미친 영향

by funfearless 2025. 3. 17.

 

현대 철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사상가 중 한 명이 바로 마사 누스바움(Martha Nussbaum, 1947~)입니다. 그녀는 정의, 윤리학, 여성주의, 감정 철학을 연구하며, 특히 인간의 복지를 측정하는 새로운 기준으로 능력 접근법(Capabilities Approach)을 제시했습니다.

누스바움의 철학은 단순한 이론적 논의에 그치지 않고, 실제 정책과 법률 개혁에도 적용되며 오늘날 다양한 분야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녀의 철학적 핵심 개념과 현대 사회에서의 의미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마사 누스바움은 누구인가?

마사 누스바움은 미국의 철학자로서, 시카고 대학교에서 교수로 활동하며 정의, 윤리학, 법철학, 정치철학 등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아리스토텔레스, 스토아 철학, 존 롤스의 사상을 바탕으로 현대 사회의 정의 문제를 탐구해 왔습니다.

그녀의 주요 저서로는 다음과 같은 작품들이 있습니다.

  • 《시적 정의》(Poetic Justice, 1996)
  • 《능력의 창조》(Creating Capabilities, 2011)
  • 《분노와 용서》(Anger and Forgiveness, 2016)

특히 능력 접근법은 개발경제학과 정치철학에서 중요한 개념이 되었으며, 이는 국제연합(UN)과 세계은행(World Bank) 등의 정책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2. 마사 누스바움 철학의 핵심 개념

누스바움의 철학은 크게 능력 접근법, 정의와 윤리학, 감정 철학이라는 세 가지 주요 개념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2.1 능력 접근법(Capabilities Approach)

능력 접근법은 경제적 성장이나 단순한 자원 분배가 아니라, 인간이 실제로 할 수 있는 것과 될 수 있는 것을 기준으로 복지를 평가해야 한다는 개념입니다. 이는 아마르티아 센(Amartya Sen)과 함께 발전시킨 이론으로, 기존 경제학에서 사용하던 GDP 중심의 성장 지표를 비판하며 등장했습니다.

누스바움은 인간이 존엄한 삶을 살기 위해 반드시 보장받아야 할 10가지 핵심 능력(capabilities)을 제시했습니다.

  • 생명: 정상적인 수명을 유지할 권리
  • 신체 건강: 건강한 삶을 영위할 권리
  • 신체적 온전성: 폭력과 학대로부터 보호받을 권리
  • 감각, 상상력, 사고: 교육을 받고 창의적으로 사고할 권리
  • 감정: 사랑, 슬픔, 기쁨을 경험할 권리
  • 실천 이성: 자신의 삶을 계획할 자유
  • 소속: 공동체에 속하고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권리
  • 타 생명과의 관계: 자연환경과 조화롭게 살아갈 권리
  • 놀이: 여가와 창조적 활동을 즐길 권리
  • 정치적, 물질적 권리: 재산을 소유하고 정치적 의사 결정에 참여할 권리

이러한 개념은 현대 사회에서 정책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되며, 특히 여성 인권, 빈곤 문제, 장애인 복지 등의 논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2.2 정의와 윤리학

누스바움은 존 롤스의 정의론을 발전시켜, 단순한 공정한 분배가 아니라, 사회적 약자가 실제로 자신의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 정의의 핵심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녀는 특히 여성과 사회적 소수자가 구조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처해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기존의 자유주의적 정의론을 비판하고 능력 접근법을 통한 실질적 평등을 강조했습니다.

2.3 감정 철학

누스바움은 철학에서 감정을 배제해 온 전통적 경향을 비판하며, 감정이 도덕적 판단과 사회 정의 실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녀는 《분노와 용서》(Anger and Forgiveness)에서 분노가 정의 실현에 반드시 필요하지 않으며, 용서와 연민이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이는 오늘날의 분쟁 해결, 갈등 조정 등의 분야에서 중요한 논의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3. 마사 누스바움 철학이 현대 사회에 미친 영향

누스바움의 철학은 오늘날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3.1 국제 개발과 인권 정책

능력 접근법은 현재 UN과 세계은행 등에서 빈곤 해결과 개발 정책의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단순한 경제적 성장보다 인간 중심의 발전을 강조하는 패러다임 전환에 기여했습니다.

3.2 여성주의와 성평등

그녀의 연구는 여성 인권 개선과 관련된 정책 연구에 적용되며, 성평등을 위한 법적·사회적 개혁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3.3 윤리학과 법철학

누스바움의 감정 철학은 법률 시스템에서 감정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로 이어졌으며, 이는 법과 도덕의 관계를 새롭게 조명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4. 결론: 마사 누스바움 철학의 의의

마사 누스바움의 철학은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현실 세계에서 정의를 실현하는 데 중요한 기준을 제공합니다. 그녀의 능력 접근법, 윤리학, 감정 철학은 오늘날의 법, 정책, 인권 운동 등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누스바움의 철학을 더 깊이 이해하고 싶다면, 그녀의 저서 《능력의 창조》를 읽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